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89

아미노산 대사장애 종류는? (페닐케톤뇨증, 티로신 대사장애, 단풍당밀뇨증) 페닐케톤뇨증 페닐케톤뇨증은 페닐알라닌 대사에 선천적 장애로 나타나는 질병이다. 페닐케톤뇨증의 출생 정도는 서양의 경우 10,000~15,000명 중 1명 정도이며, 일본의 경우 60,000명당 1명 수준이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그 발생 빈도가 더 낮다. 페닐케톤뇨증은 페닐알라닌을 대사 시키는 페닐알라닌 히드록실리 이제 효소의 부족으로 일어나는 병으로 이 효소는 페닐알라닌을 티로신으로 분해시키는 작용을 한다. 효소의 부족으로 페닐알라닌이 티로신으로 전환되지 못해 다른 대사 경로로 진행된다. 페닐케톤뇨증 영아는 눈이 파랗고 피부와 모발색이 희고 연하다 치료하지 않으면 발작이 일어나고 96~98%는 저능아가 된다. 생후 1개월 내에 발견하면 치료 효과가 높고 식사요법을 실시하면 정상아로 성장할 수 있다. 영유아.. 2023. 2. 22.
동맥경화증 종류 증상 원인 식사요법 동맥경화증은 동맥벽이 두꺼워지는 현상으로 허혈성 심장병의 중요한 원인이다. 정상적인 혈관은 부드러운 선으로 된 튜브인데 반해 동맥경화증은 동맥과 세동맥의 내벽에 적고 노란 덩어리인 콜레스테롤, 인지질, 칼슘 등을 함유한 물질이 축적되어 굳어진 플라크의 섬유상 덩어리가 생겨 동맥벽이 딱딱해진다. 플라크가 증가함으로써 동맥은 단단해지고 좁아져서 탄력성을 잃게 되며, 혈액의 이동이 방해를 받게 되고 동맥의 파열이나 박리 등이 일어나는 과정을 동맥경화증이라 한다. 동맥경화증의 종류 동맥경화에는 죽상동맥경화증, 중 막동맥경화증, 소동맥경화증 등 세 가지 종류가 있다. 1) 죽상동맥경하증: 우선 죽상동맥경화증은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으나 대체적으로 경제적으로 풍요한 나라에 많다. 주로 대동맥, 관상동맥,.. 2023. 2. 21.
신장의 구조와 기능, 신장질환의 일반적인 증상 신장 구조 신장은 척추를 사이에 두고 좌우 한 쌍을 이루며, 복막 뒤에 위치한다. 우측 신장이 좌측 신장보다 1~2cm 정도 내려와 있으며 각 신장의 무게는 약 150g 정도이고, 길이는 10cm, 폭은 6cm, 두께는 약 4cm 정도이다. 신장의 내부는 피질과 수질, 신우로 구분된다. 피질은 요 생산을 주로 하는 신소체가 밀접해 있고, 이곳은 사구체와 보우만 주모니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뇨관, 집합관이 포함되어 신단위인 네프론을 이룬다. 수질은 세뇨관의 집합체로 이들 세뇨관이 신장 피라미드를 형성하고 있으며 주로 노폐물을 처리한다. 신장은 약 2백만 개의 네프론으로 이루어져 있다. 네프론의 87%는 피질 안에 있고, 13%는 수질에 있다. 매분 약 1,200mL의 혈액이 한 네프론을 통과하는데, 이것은 .. 2023. 2. 19.
간염 원인 및 증상, 식사요법 (급성 간염, 만성 간염) 급성간염 급성 간염은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바이러스성 간염, 혈청 간염, 및 중독에 의한 중독성 간염이 있다. 중독성 간염의 원인에는 사염화탄소 등의 화학약품과 의약품 사용에 의해 생긴다. A형 간염은 A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하여 발병되고 환자의 대변, 혈액, 소변을 통하여 감염되며 오염된 음식과 음료수 섭취로 경구적으로 감염된다. B형 간염은 B형 바이러스에 의하여 혈액을 통해 감염되며, 혈액 외에도 소변, 대변, 침, 땀 등에서도 HBs항원이 검출되어 경구 감염의 가능성도 있다. 어릴수록 만성화될 확률이 높다. C형 감염은 B형 간염과 감염 경로가 비슷하며 근래 감염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아직 예방주사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오히려 B형보다 만성 간염, 간경변, 간암 등이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다. .. 2023. 2. 17.
간의 구조와 기능, 간질환 증상 간장은 체중의 2.5~3%를 차지하며 신체의 선기관 중에서 가장 크다. 간장은 우엽과 좌엽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그 사이에 담관, 간동맥, 문맥, 신경 및 임파관이 지나고 있다. 간장의 혈류는 간정맥, 간동맥 및 문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간기능의 기본 단위는 간소엽이다. 간의 기능 간에서는 섭취한 영양소의 저장, 분해, 합성 등의 대사와 순환 조절기능, 담즙의 생성과 해독작용 등 중요한 기능이 있다. 1) 당질 대사: 섭취한 당질은 포도당, 과당 및 갈락토오스로 가수분해되어 문맥을 통하여 간으로 흡수된다. 단당류의 흡수로 혈당이 높아지면 포도당은 간과 근육에서 글리코겐으로 저장되고, 반대로 혈당이 낮아지면 간의 글리코겐이 분해되어 혈당을 상승시킨다. 그 외에도 간에서는 당질 이외의 물질에서 포도당을 합.. 2023. 2.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