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병원 진료시 신분증 놓고 와도 걱정없어요

by 지식공장 지킴이 2024. 9. 10.
반응형

2024년 5월 24일부터 시행된 본인확인 강화제도에 따라 이제 병원에 방문하실 때는 신분증으로 본인확인을 거쳐야 합니다. 오랜만에 병원에 가셨던 분들이라면 신분증을 지참하지 않아 적잖이 당황하셨을텐데요, 굳이 신분증을 지참하지 않더라도 모바일로 본인 확인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오늘은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바일-건강보험증

 

 

 

본인 확인 수단

 

보건복지부에서 공지한 본인 확인 수단은 아래와 같습니다.

 

✅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국가보훈 등록증, 외국인 등록증, 건강보험증, 모바일 신분증, 장애인 등록증, 여권

✅ 공동 인증서, 간편인증 (카카오 인증서, 네이버, PASS, 삼성페이, NH인증서)

✅ 모바일 건강보험증, 주민등록증 확인 서비스, 모바일 운전면허증

 

신분증을 사진으로 찍어놓아 보여주면 되지 않을까?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안됩니다. 더불어 새로 발급된 파란색의 여권처럼 주민등록번호의 뒷자기라 가려진 여권 또한 사용할 수 없는 신분증입니다.

 

단, 19세 미만의 미성년자나 응급환자, 해당 의료기관을 6개월 이내에 재방문하는 사람은 본인확인을 거칠 필요가 없습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방법

 

모바일 건강보험증은 앱을 통해 간단하게 발급이 가능하니 미리 발급해 놓는다면 병원진료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발급 방법을 보시고 천천히 따라해보시길 바랍니다.

 

▶ 우선 안드로이드와 iOS 앱 스토어에서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검색하여 앱을 설치해줍니다. 참고로 저는 안드로이드 앱으로 진행하였습니다.

 

모바일-건강보험증-발급

 

▶  건강보험증 불법사용 금지 안내글 닫기를 누르게 되면 개인인지 요양기관인지 선택하는 버튼이 나옵니다. 우리는 개인이기에 해당하는 버튼을 클릭합니다.

 

모바일-건강보험증-발급-방법병원-신분증

 

▶  언어를 선택하는 페이지에서 한국어를 선택하시고, 다음에 나오는 안내글들은 한번씩 읽어보신 후에 다음으로 넘어가 줍니다.

 

모바일-신분증핸드폰-건강보험증

 

▶  기능 접근 권한 안내 글을 살펴보시고 확인을 누릅니다. 이후 나오는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정보 수집약관에 동의체크를 하신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핸드폰-신분증-발급모바일-건강보험증-병원

 

▶  모바일 건강보험증이 나왔습니다. 이제 본인확인만 하시면 되는데요, 본인확인은 PASS앱과 SMS를 통하여 확인이 가능합니다. 둘중 더 편한방법으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반드시 본인 명의의 기기로 인증을 하셔야 하며, 한 사람당 한 기기만 인증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모바일-건강보험증-이미지

 

▶  본인인증까지 마무리하니 이름확인이 가능한 모바일 건강보험증이 나왔습니다. 이제 병원에 방문하실 때 별도의 신분증 없이 핸드폰에 있는 이 건강보험증으로 본인확인이 가능합니다.

 

아래 이미지 아래쪽을 보면 'QR,바코드제출' 단추가 형성되었음을 볼 수 있는데요, 병원에서 접수할 때 이 단추를 눌러 QR코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생성된 QR코드는 30초 이후에는 사라지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병원-QR코드

 

마무리

 

병원-진료시-신분증

 

신분증을 집에 놓고 오더라도 병원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발급된 건강보험증을 타인에게 빌려주거나 도용할 시 국민건강법 제115조에 의거,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으니 절대 대여 및 도용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및 신청 (본인,타인)

국민건강보험은 한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가입하게 되는 중요한 사회보장 제도입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이 제도를 통해 받을 수 있는 혜택 중 하나인 환급금을 잘 모르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

know-howfactory.tistory.com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금액, 신청 방법 총정리

기초노령연금, 현재는 기초연금이라고 불리는 이 제도는 만 65세 이상의 국내 거주 노인들에게 매달 일정 금액을 지급하는 연금 제도입니다. 직접 신청해야 혜택을 누릴 수 있으니 수급자격이

know-howfactory.tistory.com

 

반응형